CPU/GPU 분산처리

2025. 8. 5. 13:06블록체인

반응형

CPU/GPU 분산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Rust로 효율적으로 설계하려면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.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다양한 작업을 GPU/CPU에서 병렬 처리
  • 결과를 안전하게 제출 (블록체인에 기록)
  • 리소스 측정 및 보상 처리 포함
  • 네트워크 통신 및 검증 구조 포함

✅ 아키텍처 개요

 

🔧 주요 모듈별 설계 전략

1. Task Scheduler

  • 역할: 블록체인 또는 노드로부터 작업 수신 → 작업 큐에 배치
  • 구조:
    • async 기반 수신기 (tokio or async-std)
    • 작업 큐 (tokio::sync::mpsc)
    • 작업 유형별로 CPU/GPU에 분배

2. CPU Worker Pool

  • Rust의 rayon이나 tokio::task 기반
  • 작은 병렬 작업이나 I/O 작업은 CPU에 할당
  • 예시 코드:
  • rust
    복사편집
    use rayon::prelude::*; let results: Vec<_> = tasks.par_iter() .map(|task| compute_cpu(task)) .collect();

3. GPU Worker Pool

  • Rust에서 GPU 활용:
    • wgpu: cross-platform
    • ocl: OpenCL 바인딩
    • cust: CUDA 바인딩
  • GPU는 커널 함수 기반으로 대량의 벡터/행렬/이미지 처리에 사용
rust
복사편집
// OpenCL 예시 (ocl) let buffer = Buffer::<f32>::builder() .queue(queue.clone()) .len(1024) .build()?;

4. Result Verifier

  • 처리 결과를 Merkle root, SHA256 등으로 해시
  • 결과 유효성 체크 (PoW, PoU 방식 등 사용 가능)
  • 다른 클라이언트의 결과와 대조 가능

5. Blockchain Reporter

  • 역할:
    • 결과 제출 (REST/gRPC/JSON-RPC)
    • 보상 요청
    • 지갑 서명 포함 (e.g. ethers-rs 사용)
  • 설계:
  • rust
let client = reqwest::Client::new(); let res = client.post("https://v1-api.zeroth.run/submit") .json(&result_data) .send() .await?;

⚙️ 성능 최적화 포인트

항목전략
CPU/GPU 분기 작업 메타데이터에 requires_gpu: bool 명시
Zero-copy 전송 GPU ↔ Host 메모리 zero-copy (OpenCL pinned memory)
타이밍 측정 작업 처리 시간 로깅 (보상 계산용)
중단복구 처리 중단 시 상태 저장 (sled, rocksdb)
컨테이너화 containerd / wasmtime를 통한 sandboxing 처리
 

🔐 보안 & 무결성 강화

  • 작업 ID + 결과 해시 → 제출 서명
  • 작업 입력에 대한 Nonce 포함 → Replay 방지
  • 제출 전에 local verifier로 self-check 수행

📦 추천 Rust 크레이트

목적크레이트
비동기 처리 tokio, async-std
병렬 처리 rayon
GPU 연산 ocl, cust, wgpu
암호화/해시 sha2, blake3
서명/지갑 ethers-rs, secp256k1, ed25519-dalek
데이터 저장 sled, rocksdb
HTTP 요청 reqwest, hyper
 

🧠 참고사항: 작업 종류 분리 예

작업 종류처리 대상이유
벡터 연산 GPU 병렬성 극대화
암호화 CPU 논리 연산 중심
이미지 변환 GPU OpenCL/CUDA
파일 압축 CPU I/O 연동 처리
AI 모델 추론 GPU Tensor Core 활용
 
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oUW + PoH  (2) 2025.08.05
암호화 자산【TON】을 해설  (0) 2024.08.20
【이더리움】의 업데이트와 그 영향  (3) 2024.08.20